글로벌 모니터 13

🇨🇳 중국이 요즘 강세인 이유? 투자 기회는 어디에?

바로 이전 포스팅에서 최근 미국 주식 부진에, 배당주로 투자가 증가했고 해외 주식으로 포트폴리오 분산이 활발하다는 이야기를 했다. 생각해 보면 올해 초반까지만 해도 나스닥 지수는 승승장구 했고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있을 것 같지 않았다. 그러나 중국도 미국 못지않은 AI 개발 능력이 있다며, 딥시크 (Deep Seek)가 등장했고 상황이 바뀌기 시작했다. 딥시크 쇼크의 자체 여파는 회복하면서 길게 가지 못했지만, 아직은 부족해도 딥시크는 중국이 AI 기술에서 미국을 따라잡을 가능성을 보여줬다. 결국 새해들어 지금까지 미국의 엔비디아와 테슬라 등 이른바 ‘M7(매그니피센트7)*’의 하락세가 두드러진 가운데, 중국의 알리바바, 비야디, 텐센트 등 ‘중국판 M7’ 기업들인, 7 Titans* (T7)이 대..

글로벌 모니터 2025.03.10

🤝 트럼프, 푸틴이랑 오늘부터 1일..? 세계 질서가 달라지고 있다

영원한 친구도 영원한 적도 없는 국제사회 라지만, 냉전의 잔재인 분단국가에서 바라보기엔 미국과 러시아가 절친이 될 수도 있다는 생각은 어색함을 넘어서 불편함 마저 느껴진다. 하지만, 트럼프 2기 시작과 함께 미국의 노골적인 친러 행보가 매일같이 보도되고 있다. 이는 단순히 러-우 전쟁을 종식하고자 하는 트럼프의 당선 공약 지키기가 아닌 전 세계 안보와 경제 지형이, '정직한 야만의 시대'로 들어서고 있는 신호탄 일지도 모른단 생각이 든다. 미국과 러시아의 중국 견제를 위한 새로운 밀월 관계를 맺는다는 것은, 앞으로 세계가 기존의 정의를 내세운 '자유민주주의' 에서 자국 이익을 먼저 챙기는 '고립주의'로의 변화를 뜻하며, 이제 각국은 생존을 위한 현실적 외교를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내몰리게 될 것이..

글로벌 모니터 2025.03.07

🥇금값이 금값 중인 진짜 이유

트럼프 정권과 함께 시작한 2025년, 돈이 몰리고 있는 곳은 어디일까? 트럼프 정책 관련 주 혹은 AI 관련 주들이 관심을 받고 있는 가운데 사상 최고치를 매일 경신하고 있는 자산이 있는데.. 바로 ‘금.덩.어.리’. 사실 이러한 금의 상승 추세는 2019년 이후 현재까지 지속되어 그간 가격이 거의 세 배로 뛴 상태이다. 더 긴 시계열로는 아래 차트와 같이 50년간 상승 추세에 있다고 봐도 된다.   분명 금은 대표적인 ‘안전자산’이다. 즉 주식과의 움직임은 대체로 반대로 간다고 보면 된다. 하지만 뉴욕증시도 고점 갱신 뉴스가 심심찮게 들려오고, 내용을 들여다보면 지표도 나쁘지 않다. 한편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으로써 금의 위치를 대신할 것이라던 평가가 무색하게 두 자산 모두 몇 년 새 황금값이 되었..

글로벌 모니터 202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