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밍 트렌드 27

💰 머스크 인맥이 만든 비공개 황금시장: SpaceX·xAI 주식으로 돈 버는 사람들

최근 일론 머스크의 최측근들이 머스크 관련 주식들을 일부 매각한 것으로 알려져 화제가 되고 있다. 머스크의 오랜 친구이자 SpaceX 이사인 안토니오 그라시아스(Antonio Gracias)는 자신의 사모펀드인 Valor Equity Partners를 통해 SpaceX와 xAI 주식 10억 달러 규모의 매각을 진행했다. 🤝 머스크의 ‘내부 인맥’이 만든 비공개 주식 시장SpaceX, xAI, Neuralink, The Boring Company 등 머스크의 비상장 기업들은 투자자들 사이에서 가장 탐나는 자산이다. 하지만 이들 기업의 지분은 매우 폐쇄적으로 운영되며, 실제 투자는 머스크 측근 그룹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그라시아스와 그의 펀드는 특수목적법인(SPV) 구조를 활용해 외부 자산가들에게 주식 ..

💸 캐시우드, 이번엔 '솔라나'다.

캐시 우드(ARK Invest)의 솔라나 투자 결정은 최근 암호화폐 업계와 전통 금융 시장 모두에서 큰 화제를 모으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ARK Invest의 솔라나 투자 내용, 투자 배경, 솔라나의 기술적 특징, 그리고 캐시 우드가 바라보는 암호화폐의 미래 비전에 대해 정리한다. 🫰🏼 ARK Invest의 솔라나 투자 내용2025년 4월, 캐시 우드가 이끄는 ARK Invest는 처음으로 솔라나(Solana, SOL) 토큰에 직접 투자했다. ARK는 캐나다에 상장된 SOLQ ETF(3iQ Solana Staking ETF)를 통해 솔라나에 진입했다. 이 ETF는 투자자들이 직접 지갑을 관리하지 않아도 SOL에 투자하고, 동시에 스테이킹 보상까지 받을 수 있는 상품이다. ARK는 자사의 대표 혁신 ..

📲 저커버그 vs 트럼프, 빅테크 독점 규제 시작되나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메타(Meta)의 대규모 반독점 소송이 결국 법정으로 향했다. 이 와중에 마크 저커버그(Mark Zuckerberg)는 마지막 순간까지 트럼프 전 대통령과의 관계를 활용해 합의를 시도했지만, FTC는 그의 제안을 "환상적(delusional)"이라며 일축했다. 이번 사건은 단순한 기업 소송을 넘어, 정·재계의 복잡한 이해관계와 권력 다툼이 얽힌 대표적인 사례로 떠오르고 있다.🔎 사건의 발단: 시작은 ‘4.5억 vs 300억 달러’의 간극지난 3월 말, 저커버그는 FTC 위원장 앤드루 퍼거슨(Andrew Ferguson)에게 직접 전화를 걸었다. 메타가 오랜 기간 이어진 반독점 소송을 4억 5천만 달러 (약 6,100억 원)에 합의하겠다는 제안이었다. 이 금액은 FTC가 요..

🚀 블루 오리진: 제프 베조스의 우주 비전과 SpaceX와의 경쟁

4월 14일, 아마존의 제프 베조스가 설립한 '블루 오리진(Blue Origin)'의 최신 임무에 전원 여성으로 구성된 우주 승무원 팀이 참여 & 성공적인 비행을 마쳤다. 이번 우주비행은 우주 관광 산업과 여성 STEM* 분야 모두에 있어 중요한 이정표로 평가된다. 그럼 앞으로 머스크의 스페이스 X와 쌍벽을 이루며 민간우주업계를 이끌어 갈 블루 오리진에 대해 잠시 알아볼까? *STEM이란? 과학(Science), 기술(Technology), 공학(Engineering), 수학(Mathematics)의 머리글자를 딴 용어로, 현대 사회와 경제 발전에 필수적인 핵심 분야를 의미🚀 제프 베조스가 블루 오리진을 설립한 이유2000년, 아마존이 급성장하던 시기에 제프 베조스는 또 다른 야심 찬 프로젝트를 시작했..

🏠 트럼프 관세, 미국 부동산도 흔들린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재시행과 일시 중단'이 반복되면서 미국 경제 전반에 파장이 커지고 있다. 관세 정책의 혼선은 기업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와 주택 소유자 심리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심지어 그동안 금리 인상에도 굳건하던 미국의 고가 주택 시장마저도 지난주 4월 3~4일, 주식 시장이 양일간 총 6.6조 달러의 시가총액을 사라지자 거래 성사가 바로 코 앞이던 고가 주택 딜들이 취소되기 시작했다. 참고로 상위 5%의 고급 주택 가격은 2024년 2분기에 전년 대비 8.8% 상승하며, 일반 주택의 두 배 넘는 가격 상승률을 보이며 어딜 가나 '비싼 집은 더 비싸지는'양상을 보이는 듯했다. 하지만 집값, 정말 빠질까? 📍계약 취소가 된 미국 고가 주택은 어디? 1. 뉴욕 레녹스 힐뉴욕 레..

💸 캐시 우드,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해 입열다

아크 인베스트의 수장, 캐시 우드는 최근 시장을 뒤흔들고 있는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해 논평을 냈다. 이어 ARK 펀드 포트폴리오 내 주식 종목들에 대해서도 각각 의견을 공유했다. 함께 정리해보면서 그녀의 생각을 팔로우업 해보면 좋을 것 같다.📩 트럼프 관세 정책, 위기는 기회다!?많은 이들이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경제와 국제 정세를 위협하는 재앙으로 간주하고 있지만, 캐시 우드는 이 정책이 단순한 세금 인상이 아니라, 심도 깊은 협상을 위한 일종의 충격 요법으로 기능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겉보기에는 혼란스럽고 역진적 세금 인상처럼 보였던 관세 조치가 사실은 국제 무역 장벽 완화를 이끌어내기 위한 전략적 움직임일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동맹국과의 협상을 담당하도록 베센트..

🎯 앤드리슨 호로위츠, AI 투자 위해 역대 최대 펀드 모집하다

앤드리슨 호로위츠(Andreessen Horowitz, a16z)가 미국의 인공지능(AI) 성장 기업에 투자할 목적으로 200억 달러 규모의 대형 펀드를 조성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펀드는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자금을 모집하여, 미국 내 AI 산업과 기술 기업 성장 단계(growth-stage) 투자를 목적으로, 펀드는 현재 초기 단계로 마무리까지는 수개월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펀드 조성이 성사되면 앤드리슨 호로위츠 역사상 최대 규모의 펀드가 되며, 소프트뱅크 비전펀드(1000억 달러, 560억 달러)에 이어 벤처 캐피탈 업계 전체에서도 매우 큰 규모라 의미가 있다. 자세히 알아볼까? 💰 앤드리슨 호로위츠(a16z)가 누구길래?2009년에 설립된 벤처 캐피탈 (VC)로, 창업자인 마..

🤔 트럼프 핵폭풍급 관세 정책, 수혜받는 업계도 있다? (1)

트럼프 2기의 상호관세 정책이 발표된지 일주일이 되었다. 각 국의 주식 시장은 큰 혼란에 빠졌고, 미국마저 스스로를 침체로 몰아넣을 것이란 위기론이 여러 전문가들을 통해 들리고 있다. 하지만, 이 난국에서도 조용히 웃고 있는 업계가 있다는데..바로 슬로우 패션(slow fashion)이다. 슬로우 패션이 뭐야?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윤리적인 생산을 지향하는 소매 유통 방식이다. 중고 쇼핑을 장려하고, 제품이 노동자와 지역사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더 많이 인식하자는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 2007년 《에콜로지스트》에 따르면 케이트 플레처는 슬로우 패션을 “디자이너, 구매자, 유통업체, 소비자가 제품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인식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저물어가던 슬로우 패션슬로우 패션..

💰소프트뱅크, OpenAI에 400억 달러 베팅…AI 시대에 올인?

소프트뱅크가 생성형 AI 시장을 선도하는 챗GPT 개발사인 OpenAI에 총 400억 달러 (58 조 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한다. 이는 스타트업 역사상 최대 규모의 투자인 만큼 소프트뱅크의 OpenAI 투자는 단순한 기업 간 거래를 넘어, AI가 주도하는 새로운 기술 혁명의 서막을 알리는 중대한 사건이다. 이번 투자로 OpenAI의 기업 가치는 최대 3,000억 달러 (439조 원)를 기록하며, 불과 6개월 만에 기업 가치가 두 배 가까이 상승하는 놀라운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다. 전 세계 기술 투자 시장이 주목하는 이번 소프트뱅크의 과감한 승부수가 AI 산업과 글로벌 투자 지형에 어떤 파장을 몰고 올지 우리도 이 거대한 변화의 흐름을 놓치지 말고 함께하자. 🔎 특이한 딜 구조 이번 투자는 1차 10..

💣 이더리움, 투자 자산으로서의 '사망선고'?

한때 암호화폐 시장의 2인자로 불리며 블록체인 혁명을 이끌 것이라 기대받던 이더리움이 위기에 처했다. 현재 이더리움은 전년 대비 약 50% 하락한 상태다. 블록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중앙화 거래소 내 이더리움 공급량은 1,620만 ETH로 12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매도세가 심해지고 있다는 신호로 해석되고 있다. 상장폐지 루머마저 돌고 있다. 미국과 홍콩 등에서 이더리움 현물 ETF가 거래되고 있지만, 비트코인 현물 ETF에 비해서는 거래량과 자금 유입 모두 크게 부족한 상태다. 이 추세가 반전되지 않는 이상 ETH의 반등 가능성은 낮다는 전망이 우세하다. 투자자인 우리는 어떤 선택을 해야할까? 냉정하게 이더리움의 현재와 미래를 분석해 보자. 🔍 이더리움, 무슨 일인가?1. 확장성 문제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