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의 상호관세 정책이 발표된지 일주일이 되었다. 각 국의 주식 시장은 큰 혼란에 빠졌고, 미국마저 스스로를 침체로 몰아넣을 것이란 위기론이 여러 전문가들을 통해 들리고 있다. 하지만, 이 난국에서도 조용히 웃고 있는 업계가 있다는데..바로 슬로우 패션(slow fashion)이다.
슬로우 패션이 뭐야?
환경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윤리적인 생산을 지향하는 소매 유통 방식이다. 중고 쇼핑을 장려하고, 제품이 노동자와 지역사회,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더 많이 인식하자는 철학을 기반으로 한다. 2007년 《에콜로지스트》에 따르면 케이트 플레처는 슬로우 패션을 “디자이너, 구매자, 유통업체, 소비자가 제품이 사회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인식하는 방식”이라고 설명했다.
저물어가던 슬로우 패션
슬로우 패션은 최근 패스트 패션에 완전히 밀려 있었다. 패스트 패션은 품질보다 양을 중시하는 산업으로, 엘런 맥아더 재단(Ellen MacArthur Foundation)은 2050년이 되면, 의류 생산량이 2017년의 세 배에 달하는 1억 6천만 톤에 이를 것이라 전망했다. 특히 미국 Z세대의 40% 이상이 쉬인 (Shein)과 테무(Temu) 같은 기업에서 쇼핑하고, 1/3 이상이 TikTok Shop에서 매달 쇼핑하며, 이들 플랫폼은 낮은 생산 비용과 빠른 배송을 바탕으로 값싼 상품을 대량으로 시장에 공급해 왔다.
패스트 패션의 치명타, 면세 혜택 종료
미국은 최근 중국산 제품에 대해 추가 관세를 부과(104%!)하고, 중국 및 홍콩산 상품에 적용되던 ‘de minimis’ 면세 혜택을 5월 2일부터 폐지하기로 했다. 이로써 기존 800달러 이하의 상품을 소비자에게 직접 배송할 경우 제해주었던 세금이 다시 부과되는 것이다. 이 조치는 쉬인, 테무 등 초저가 패스트 패션 브랜드에 큰 타격을 입혔다. 이들 기업은 그간 이 제도의 구멍을 활용해 수많은 상품을 미국 소비자에게 무관세로 배송해왔고,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중국발 면세 소형 화물은 무려 1,145% 증가했다. 슬로우 패션 관련 기업들은 그동안 소비자 확대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로 이 '쉬운 접근성과 저렴한 패스트 패션'을 지목해 왔을 정도다.
중고 의류 시장의 반사이익
“리세일 기업들은 트럼프의 광범위한 관세로부터 비교적 ‘단열(insulated)’되어 있다.”
-루카 리피차, 투자 자문사 Venturen 고문
반면, 패스트 패션의 경쟁자인 슬로우 패션 업계는 이번 조치로 인해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ThredUp, The RealReal과 같은 중고 의류 리세일 기업들은 대부분 자국 내 소비자에게서 물품을 공급받아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관세 영향을 받지 않으며 앞으로는 가격 경쟁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되었다.
기업 실적에 나타난 온도 차
“ThredUp의 공급망을 생각해보면, 우리가 판매하는 옷은 모두 미국인들의 옷장에서 나온 것들입니다.”
-알론 로템, ThredUp 최고전략책임(CSO)
실제 시장 반응도 이를 반영하고 있다. 트럼프 발표 이후, Nike, Amazon, H&M, Lululemon, Target 등 주요 소매업체 주가는 중국,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등 주요 생산국이 관세 부과 대상이 되며 일제히 하락한 반면, ThredUp (티커: TDUP)은 주가가 몇 년간 하락 또는 정체되던 흐름을 깬 이례적인 반등을 보이자 투자자들의 기대를 모았다. ThredUp 측은 “이번 조치는 불공정한 가격 경쟁을 바로잡고, 지속 가능한 소비 문화를 확산시킬 수 있는 기회”라고 밝혔다.
지속 가능한 소비 트렌드의 전환점
이번 관세 정책은 단순한 무역 장벽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소비자들이 빠르고 싸게 소비하는 방식에 의문을 갖기 시작한 지금, 슬로우 패션은 환경과 윤리를 고려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트럼프의 정책이 아이러니하게도 지속 가능한 소비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는 셈이다.
수년간 de minimis 조항은 패스트 패션 소매업체들에게 불공정한 이점을 주며, 값싸고 단명하는 제품들로 시장을 장악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번 정책은 환경과 지속가능한 패션의 미래를 위한 중대한 승리입니다
-관세 정책 발표 후 ThredUp가 낸 성명서 중
'블루밍 트렌드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캐시 우드, 트럼프 관세정책에 대해 입열다 (7) | 2025.04.12 |
---|---|
🎯 앤드리슨 호로위츠, AI 투자 위해 역대 최대 펀드 모집하다 (2) | 2025.04.10 |
💰소프트뱅크, OpenAI에 400억 달러 베팅…AI 시대에 올인? (2) | 2025.04.02 |
🤖 머스크의 승부수: X.ai와 X 합병, 진짜 목표는 Grok의 진화 (2) | 2025.03.31 |
⚓ 중국 조선소, 군함도 함께 짓는다 (2) | 2025.03.30 |